Classification of Instructional Programs (CIP) | Study in the States
Schools throughout the United States and its territories offer thousands of similar programs of study, but each have their unique program names and descriptions. The U.S. Department of Education (ED), which collects and reports data about these programs of
studyinthestates.dhs.gov
부제: 내 전공이 STEM 전공인지 아닌지 확인하는 방법
물론, 영주권(그린카드)과 시민권이 가장 빠르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다. 또한 대학이나 대학원의 OPT 제도를 통해서 생명연장을 하며 그 기간동안 H1B 스폰을 받는 방법을 모색해야하는 것도 대부분 알고 있을 것이다. 난 그 생명연장에 대한 이야기를 잠깐 해볼까 한다.
학교 졸업 후, 최대 3년까지 OPT(1년)+ Extended OPT(2년 연장, STEM 전공 학생들만 해당) 합법적 미국 취업이 가능하다. 그렇다면 STEM이란 무엇인가? 단어가 포함 하는 뜻 그대로 과학 (Science), 기술 (Technology), 공학 (Engineering), 및 수학 (Mathematics) 를 이르는 말이다. 이 카테고리에 포함하는 전공을 하면 최대 3년까지 미국에서 학교 졸업후 시간을 벌 수 있다는 이야기인데.. 후기들을 읽어보니 개중엔 본인 생각대로 '이 전공을 하면 여기에 포함되는 거 아니야?' 하며 진학해 놓고 나중에서야 STEM 전공이 아님을 알고는 한국으로 울면서 돌아가는 경우가 있다고.. 반대로 본인 전공이 STEM에 해당하는데 3년 까지 연장할 수 있는지도 모른 채 한국에 귀국하는 사례도 있다고 한다. 미유학까지 가는 똑똑하신 양반들께서 그러하다는 걸 믿을 수 없지만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다.
왜냐하면 나 역시 대학원을 알아보기 전까지 이런 제도가 있음을 전혀 몰랐다는 거..(자랑이다!) 나와 같은 무지한 사람들을 위해 적어본다. 내가 전공하려는 것이 STEM 전공인지 아닌지 확인하는 방법은 CIP Code를 확인하면 된다. 학교측으로 부터 I20를 받으면 MAJOR란에 내 전공의 CIP Code가 명시되어 있다. 이 코드번호를 저 위에 링크한 사이트에서 확인하면 된다. 매년 STEM 전공을 업데이트(추가확대)하고 있으므로 희망을 가지고 검색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그리고 유학원을 통해 진학하시는 분들은 장사꾼 말만 무작정 믿지마시고 직접 다시한번 Double-chk 하시는 계기가 되시길 빈다.
유학을 준비하는 과정이나 OPT, CPT 쓰는 방법을 설명해 둔 블로그는 너무 많다. 하지만 자칫하면 운명을 바꿔놓을 수도 있는 부분에 대한 확인 절차를 소개하고 있는 글은 거의 없는 듯하여 내가 한번 적어본다. 두 번째 유학이지만 세월이 많이 흘러 비자를 재발급 받는 것부터 모든게 새롭다. 그래서 다른 사람들이 남긴 후기들이 새삼 고맙게 느껴진다. 나의 정보글도 누군가에겐 도움이 되었으면..
그리고 이 자리를 빌어, 내게 학교진학을 통해 3년 간 합법적으로 취업이 가능하다는 소식을 들려준 내 친구에게 감사인사를 해본다. 내가 만약 추후 미국에서 성공적 결과를 낸다면 그 공의 절반은 내 친구에게 있다고 말할 것이다. 내 인생의 터닝포인트는 바로 지금이다.
'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ad Pro 아이패드 pdf 파일 튕김 해결방법 (0) | 2024.02.10 |
---|---|
웹마스터 Google Search Console 써치콘솔 티스토리 등록 (0) | 2023.06.14 |
OPT 신청 전후 한국 방문 가능여부 (0) | 2023.04.24 |
맥북 마이크 인식 해결방법(ft.듀오링고) (0) | 2023.04.19 |